로그인이 필요한 페이지 입니다.
K-MOOC 50+적합 콘텐츠를 이용하시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아이디가 없으신 분은 회원가입을 하시기 바랍니다.
2018-07-05
1960~70년대 신민요의 기수로 불리며 가요계의 정상에서 활동했던 가수가 있다. 바로 김부자(金富子?70)다. 그 시절은 어느덧 이미 반세기 전의 얘기이지만, ‘달타령’을 비롯한 그녀의 대표곡들은 지금도 여전히 이곳저곳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놀라운 생명력을 갖고 있다. 이번에 만난 김부자는 과거에 묻힌 가수가 아니라 현재를 개척하는 가수로서의 모습이 더 어울리는 에너지가 있었다. 그녀가 털어놓는 롤러코스터와도 같았던 삶을 뒤돌아보며 젊은 날의 봄을 맞이하듯 김부자와의 즐거운 만남을 가졌다.
2018-07-04
삶이 지속되는 한 시험은 시작도 없고 끝도 없다.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실로 다양한 시험을 겪으며 낙방에 좌절도 하고 게으름에 후회도 많았으리라. 또한 값진 노력의 결실을 맺어 한동안 안락함과 함께 자존감을 세워준 시험도 있었을 것이다.
2018-07-04
산티아고를 떠나는 사람들은 보통 30~50일까지 일정을 잡아 떠난다. 800km를 넘어 3,800km까지 걸었던 사람들에게 가장 많이 던져지는 질문이 '배낭에 무엇을 넣어 가야 하는가'에 대한 것이다. 장기간 여행을 하다보면 필요한 것들이 많은 데, 욕심만큼 배낭을 채울 수 없기 때문이다. 욕심 가득한 배낭을 메고 매일 20~30km를 걷는 건 결코 쉽지 않다.
2018-07-04
꼭 하고 싶은 말이 있는데 전할 수 없는 상황이 되어서마음만 동동 구를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 ‘브라보 마이 라이프’의 문을 두드려주셔요. 이번 호에는 시인 장석주님이 봄을 기다리는 마음으로 편지를 보내주셨습니다.
2018-07-04
천운을 타고나 이룰 것 다 이뤘는데도 탁구 천재 현정화의 눈매는 아직도 살아 있고 견고한 에너지를 방출 중이다. 시사평론가 이봉규의 강한 스매싱(?)과 날카로운 서브를 넣어도 그녀의 핑퐁 토크는 명불허전이었다. 역시 레전드와의 만남이었다.
2018-07-04
세계 최초로 죽염 산업화를 이룬 ‘인산家’는 죽염의 대명사로 불린다. 그 인산죽염의 창시자는 신의(神醫)라 불렸던 인산(仁山) 김일훈 선생, 그리고 현재 인산家의 수장으로서 인산죽염을 이끌고 있는 이는 그의 아들 김윤세(金侖世?63) 회장이다.1987년 정부로부터 죽염 제조 허가를 받아 30여 년간 사업을 이어왔다. 현재 29만명의 회원을 거느리고 연매출 300억 원의 기업으로 성장한 인산家를 찾아 소금장수의 진심과 사명감을 들어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