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커뮤니티
커뮤니티 소식

인생후반기를 결정하는 5대 리스크와 예방대책

이 글은 50+세대가 반드시 알고 살아야 할 내용인 것 같아서 말은 많이 들은 이야기지만 한번쯤 다시 생각해 보고자 하는 의미에서 공유하고자 한다.

 

1. 5대 인생후반 리스크

1) 은퇴창업 리스크

- 자영업 진출 후 3년 이상 사업을 유지하는 비중은 2명 중 1명

- 자영업자가 1년 이내에 휴·폐업할 확률이 18.5%이며, 3년 이내에 폐업할 가능성은 46.9% (KB금융경영연구소, 2012년).

- 은퇴자들이 쉽게 창업할 수 있는 음식점업(52.2%)과 잡화점(53.6%)의 3년 이내 폐업 확률은 더 높아.

2) 금융사기리스크

1) 50대 4명중 1명 금융사기에 노출

-50대 60대 금융사기 : 4.7%, 5.2% -> 2.8%(30대)에서 3.4%(40대)

-50대 60대 금융사기 위험: 20.7%와 19.8%(‘20대 13.4%, 30대 15.9%, 40대 17.6%)

2) 50대 이상 예비은퇴자 및 은퇴자의 금융사기 피해금액은 7~8천만원

- 50대의 금융사기 평균 피해액은 3,043만원, 40대와 60대의 피해금액은 각각  7,353만원과 8,250만원.

3) 중대질병 리스크

-50대이상 고령자 2명중 1명 암,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3대중증)

-85세 이상에서 10명중 3명은 치매

-3대질병 년간 의료비 부담 : 2백~9백만원

- 암 의료비의 경우 50대가 574만원. 반면, 심혈관 · 뇌혈관질환 의료비는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늘어나 75세 이상 335만원, 894만원. 치매의 경우 3대 중증질병 보다 더 큰 의료비 부담을 주는 것으로 나타남

-50대의 경우 직접의료비는 247만원, 연간 입원일수가 114일에 달해 간병비 부담 (799만원)이 매우 증가.

4) 황혼이혼 리스크

황혼이혼 증가로 50세 남성 100명중 2.4명 경험 예측

-1990년 이후 20년 이상인 ‘황혼이혼 증가

-남편 연령 55세 이상인 경우 2002년 천 명당 2.9건, 2012년 3.8건으로 0.9건 증가

-남편 연령 60~64세의 이혼률이 크게 증가, 2002년 2.9건, 2012년 4.2건

65~69세의 이혼률 또한 1.8건에서 3.1건으로 크게 증가. 황혼이혼으로 부부 재산분할

5) 성인자녀 리스크

 대학졸업 이후에도 경제적 지원 기간이 길어지고 있음

-부모 중 절반은 대학졸업까지만 책임

 .보건사회연구원(2012)에서 책임이 언제까지냐는 질문에 ‘대학졸업’이 49.6%, 혼인할 때까지’ 20.4%, ‘취업할 때까지’ 15.7%의 순.

- 만혼화로 자녀가 대학졸업후도 기간 길어져

- 우리나라 평균 초혼연령(남)은 1990년 27.79세 → 2000년 29.28세 → 2012년 32.13세 · 대부분 우리 문화로 인해 사실상 부모는 결혼 때까지 경제적으로 자녀를 뒷받침함.

2. 인생후반 5대 리스크 대처 방안

1) 재취업이 우선, 창업을 고려한다면 철저히 준비하자.

은퇴창업 리스크의 발생 가능성은 크지만 경제적 여파가 적다고 안심은 금물

- 실패 이후에도 재창업을 지속하는 ‘리볼빙(revolving) 창업’이 은퇴자의 재정에 더 큰 문제

- 생활비를 버는 것이 주목적이라면 창업보다는 재취업을 우선할 것.

- 보유자산을 활용하고 재취업을 통해 140만원 이상 소득을 확보할 수 있다면 창업은 재고려 해야 할 것

- 창업이 반드시 필요하다면 1년 이상 준비단계를 거쳐 실패 가능성을 최소화 할것.

2) 금융, 투자지식을 쌓고 단기에 큰돈을 벌려는 조급증을 다스리자.

금융사기 피해를 입을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으나 경제적 여파는 크므로 은퇴자들의 주의 요구됨.

- 기본적으로 ‘투자위험은 적은데도 고수익을 보장’하는 투자대상을 권유하는 경우 금융사기

- 모자란 은퇴자산을 단숨에 해결하고자 하는 것은 위험한 투자는 자신의 은퇴준비 현황 파악.

3) 중대질병에 대해서는 보험상품으로 대비하자.

- 중대질병에 따른 금전 손실은 적은 편이지만 발생 가능성이 매우 크므로 보험으로 대비필요.

- 나이가 들수록 3대 질병을 진단받거나 치매를 앓을 가능성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50대 이상 부부 중 한명 이상이 중대질병을 앓게 될 가능성은 더욱 커진다는 점을 유념.

- 특히 3대 질병으로 의료비를 지출한 후 인생 후반에 치매를 앓을 경우 경제적 손실이 상당 해질 수 있음을 간과하지 말것.

4. 황혼이혼은 신중 또 신중히 결정하자.

- 황혼이혼이 은퇴파산 시기를 크게 앞당기며, 경제적인 측면만 본다면 황혼 이혼은 반드시 피하는 것이 좋음.

5. 자식,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다면 은퇴설계에 포함시키자.

성인자녀 리스크는 발생가능성이 높고 은퇴파산을 앞당기는 경제적 여파도 크므로, 미리 대비할 것.

- 길어지는 학업기간, 청년층의 취업난, 젊은 세대의 만혼화로 인해 자녀를 두고 있는 은퇴자들의 상당부분이 성인자녀 리스크에 노출되어 있음.

- 자녀를 경제적으로 뒷받침할 때 은퇴파산 시점이 크게 앞당겨지며, 부모의 경제적 부담 가중.

- 자녀가 자립할 때까지 충분히 지원하는 게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면 그때까지의 생활비 지원 및 결혼비용까지 고려해 은퇴자산 마련계획을 철저히 세워두는 게 필요함.   끝.

 

 2018. 06.07

한국진로직업아카데미 협동조합 대표  이영철